5회 시험(2022년 7월 23일)부터 교재가 3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3판에서 추가된 부분 예상문제입니다. 교재 2판 기준 3과목 예상문제는 여기에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4회에 응시했었는데 생각보다 어려웠습니다.
단순개념에 대한 문제는 거의 없고, 지문이 매우 긴 서술형 문제가 많아 전체 지문을 읽고 이해한 후 숨겨진 오류를 찾는데 상당히 주의를 요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긴 지문이 포함된 문제를 중심으로 출제를 해보았습니다. 개념문제나 단순한 형태의 문제는 지난 4회차 대비용으로 출제한 문제를 참고하세요. 링크는 본문 맨 아래 있습니다.
가장 어려운 과목입니다.
이번에도 들어가기 전에 2판과 3판의 목차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잡음이 좀 있었던 건지 코딩파트를 빼고, NFT와 메타버스를 하나의 챕터로 넣었습니다.
2판
1절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이해와 활용
2절 인공지능 기술의 이해와 활용
3절 빅데이터 기술의 이해와 활용
4절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활용
5절 디지털 인증 기술의 이해와 활용
6절 금융인을 위한 코딩 개요 (삭제)
3판
1절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이해와 활용
2절 인공지능 기술의 이해와 활용
3절 빅데이터 기술의 이해와 활용
4절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활용
5절 NFT 기술의 이해와 활용(feat. 메타버스)
6절 디지털 인증 기술의 이해와 활용
위 목차 비교에서 보듯이 3과목도 거의 이전 버전에서 변경되지 않았으니 지난 4차 시험 예상문제를 우선 참고하세요.
본 게시에서는 새로 추가된 NFT 챕터 예상문제와 블록체인 관련한 문제만 실었습니다.
https://harrys4th.tistory.com/31
금융DT테스트 3과목(디지털금융 기술) 예상문제
2021년 11월 6일 실시하는 3차 시험을 대비하여 자체 제작한 문제입니다. 유튜브 동영상 설명글에서 파일링크로 제공했는데 자꾸 수정이 생기다보니 다시 수정해서 PDF로 변환하는 게 너무 비효율
harrys4th.tistory.com
1. 메타버스에 관한 내용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메타와 우주를 결합한 조어로 SF작가 닐 스티븐슨의 1992년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가장 먼저 사용된 용어이다.
② 메타버스의 핵심 4가지 요소는 AR, MR, Life Logging, Mirror World로 구분할 수 있다.
③ 최초의 메타버스라고 불리는 세컨드 라이프는 블록체인 이전부터 존재했고, 사이버머니도 통용되었다.
④ 메타버스로 분류되는 대부분은 아바타를 통해 사용자 간에 교류를 하거나 가상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하였다.
답.2. MR이 아니라 VR
2. NFT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① 디지털 아티스트 비플의 '매일 : 첫 5000일'이라는 작품은 NFT 아트가 세상에 크게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② FT토큰만 가능했던 암호화폐 1세대 비트코인에서 다음세대인 이더리움으로 진화하면서 NFT의 표준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③ 암호화폐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그 가치를 관리할 수 있고, 이는 오프라인 저작물을 온라인에서 관리하는데 위변조, 복제를 막아준다.
④ NFT의 주류 플랫폼은 이더리움인데, 이는 ERC-721, ERC-1155 규격을 정의하여 발행플랫폼으로서 범용성을 갖췄기 때문이다.
답.2. 비트코인에도 OAP(Open Assets Protocl)이라는 기술이 있어 NFT가 존재했었다. 이와 같이 비트코인에 간단한 기록을 넣은 걸 컬러드 코인이라 불렀다.
3. 다음 중 NFT 플랫폼이 되는 이더리움의 규격을 ERC라고 하는데, 이는 토큰을 만들 때 준수해야 하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NFT 표준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① ERC-1155
② ERC-2665
③ ERC-721
④ ERC-233
답.4. 721, 1155, 721을 확장한 표준이 2665
4. ERC 프로토콜의 기능이 잘못 설명된 것은?
① ERC-20 : 토큰 생성
② ERC-223 : 잘못된 주소로 송금 불가
③ ERC-721 : 대체불가 토큰 생성
④ ERC-1155 : 타인을 대신해서 송금 가능
답.4. 777의 기능. 1155는 FT와 NFT토큰 혼합 가능
5. 대체가능토큰과 대체불가토큰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 무엇인가?
① 대체가능토큰은 이더리움 규격으로 ERC-20 을 사용하며, 각 소유자의 지분을 기록한다.
② 대체가능 토큰의 유형은 Currency이고, 대체불가토큰은 Deed(증서) 이다.
③ 대체가능 토큰의 추적정보는 소유권자 추적이고, 대체불가토큰은 잔고 추적이다.
④ 대체가능 토큰은 송금 침 물품구매, 디지털통화 등에 사용이 가능하고, 대체불가토큰은 부동산과 같은 물리적인 사물의 등기도 가능하다.
답.3. ERC20은 각 소유자에 속한 잔액을 추적하고 소유자의 주소가 매핑의 기본키이다. 각 계정의 최종 잔액만 추적하고 토큰의 출처는 추적하지 않는다. ERC721은 각 증서 ID(256비트 식별자)와 소유권자를 추적하며 증서 ID가 매핑의 기본 키가 된다.
6. 다음은 NFT의 세가지 특징에 관한 설명이다.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구매 관련 계약서를 스마트 컨트랙트로 작성하여 블록체인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가능성은 작품의 재판매시에 작가에게 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해준다.
② 소유권을 특정한 서비스 공급업체에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에 명시되어 자유롭게 NFT를 이전할 수 있게 해주는 특징을 거래가능성이라 한다.
③ 이더리움의 기능적인 성질이 NFT에 적합하다는 점, 그리고 이용자가 많아 네트워크 효과를 얻기 쉽다는 점이 NFT의 프로그램가능성을 부여해 주었다.
④ 서로 다른 서비스(월렛, 마켓플레이스)에서 NFT를 동시에 이용하기 어려운 점이 NFT의 유일성을 보장하고, 동일 규격으로 이루어진 토큰은 플랫폼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한다.
답. 4. 동일 규격이므로 서로다른 서비스 거래도 가능하다.
7. NFT와 관련된 글로벌 회사들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메타가 메타버스에 징중하는 가장 큰 이유는 유튜브, 틱톡, 스냅챗 등에 젊은 사용자를 빼앗겼기 때문이다. 메타는 '호라이즌 워크룸'과 같은 가상 회의실 서비스를 출시하였다.
② 2015년부터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디센트럴랜드는 블록체인 인프라에서 직접 발행되는 토큰으로 , 블록체인 내에서 투표나 전송 수수료 결제등에 사용할 수 있는 라리블 토큰을 발행하였다.
③ VR 브라우저를 탑재한 헤드셋에도 대응하는 메타버스 크립토복셀은 NFT화된 토지를 사들여 가게나 갤러리를 만들고 그 안에 NFT객체를 배치할 수 있고, 이 객체는 오픈시등과 연계하여 매매할 수 있다.
④ 슈퍼레어는 까다로운 큐레이팅을 통해 각 아티스트 수입을 보장하는 예술 플랫폼으로 작품당 단 1개의 NFT 토큰만 판매한다.
답.2. 네이티브 토큰에 대한 설명이고, 라리블은 미국의 NFT 거래 플랫폼 중 하나이다.
8. NFT와 관련된 기술용어이다. 바르게 설명된 것은 무엇인가?
① On-Chain : 예술품 자체는 일반서버나 IPFS에 저장하고, NFT는 블록체인에 저장
② 30분의 규칙 : 사람들이 VR공간에서 30분이 넘는 시간을 즐기는 메타버스 서비스가 나오는 시점이 메타버스의 대중화 시작
③ DAO : 분산적이고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조직 또는 시스템
④ 컬러드 코인 : OAP를 활용한 기술로 비트코인을 거래할 때 간단한 기록을 새겨넣은 속성
답. 3. OAP는 이중 계층으로 되어 있는 비트코인의 블록체인에서 첫번째 계층에 거래 데이터를 기록하고, 두번째 계층에는 송금 메시지를 기록할 수 있는데 이 메시지 기반을 확장하는 기술. Open Assets Protocol
9. 블록체인이 블록은 헤더와 바디로 구성된다. 다음 중 블록의 헤더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설며이 틀린 것은?
① Bits : 난이도
② Merkle Hash : 거래정보해시
③ Time : 블록 생성 시간
④ Nonce : 암호
답.4. 넌스는 블록체인에서 목표값 이하의 블록 해시를 찾기 위해 임시로 사용하는 숫자. 즉, 난수. 헤더는 버전, Bits, 이전블록해시, 블록생성시간, 머클해시, 넌스로 구성됨
10. 암호화폐 채굴세력의 거대화와 독점화에 반대하여 만들어진 기존코인에서 하드포크한 코인은 무엇인가?
① 비트코인클래식
② 비트코인골드
③ 리플
④ 이더리움클래식
답.2
11. 이더리움의 창시자로 널리 알려진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쓴 <The Meaning of Decentralization > 에서 정의된 탈중앙화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탈중앙화는 장애 허용성(Fault tolerance), 공격 저항성(Attack resistance), 담합 저항성(Collusion resistance)을 가지기 위해서 필요하다.
② 장애허용성은 중앙화된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사고나 실수로 시스템 전체가 멈출 수 있으나 탈중앙화는 이를 방지할 수 있다.
③ 공격저항성은 해커의 공격을 힘들게 하고, 공격한다해도 성공 확률이 낮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④ 담합저항성은 시장참여자의 담합으로 인한 다수 구성원의 착취를 방지할 수 있다.
답.4.시장참여자가 아닌 소수 엘리트의 담합을 방지
12. 첫번째 그림과 같이 전자지갑에 비트코인이 있는 경우, A가 B와 C에게 3.6, 2.5 비트코인을 보내면 두번째 그림의 A, B 빈칸에 각각 들어갈 비트코인은 얼마인가?
① 1.7, 0.8
② 0.3, 0.6
③ 6.1, 0.9
④ 0.5, 2.0
답.1. UTXO에 관한 문제. 전송해야 할 총액이 6.1이면 지갑에 딱 6.1이 있는 게 아니므로 지갑에 있는 금액 중 6.1 이상의 조합으로 전송을 하고 남은(사용하지 않은) 비트코인(Unspent Transaction Output) 0.8을 다시 내 지갑으로 전송
지난 4회 시험을 준비하며 만든 개념중심으로 작성한 예상문제도 있으니 혹시 시간이 된다면 같이 보세요.
- 4회차 1과목 예상문제 https://harrys4th.tistory.com/28
- 4회차 2과목 예상문제 https://harrys4th.tistory.com/30
- 4회차 3과목 예상문제 https://harrys4th.tistory.com/31
- 4회차 4과목 예상문제 https://harrys4th.tistory.com/32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DT테스트 1과목(디지털 전환의 이해) 예상문제 (3판 기준) (26) | 2022.05.25 |
---|---|
금융DT테스트 4과목(디지털 마케팅) 요약 (3판 기준) (0) | 2022.04.19 |
금융DT테스트 2과목(디지털금융 정책 트렌드) 예상문제(3판 기준) (6) | 2022.04.18 |
서비스 경험 디자인 자격 (한국디자인 진흥원) (0) | 2022.01.06 |
금융DT테스트 4회차 후기입니다. (21.11.06 응시) (4) | 202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