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 후배가 이걸 준비한다고 하네요. 작년쯤에 저도 이 자격을 알게되어 소개자료만 한번 보다가 다른 자격증 준비하느라 잊고 살았는데...
이상하게 자격증 정보를 찾으면 찾기가 항상 어렵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궁금한 걸 기준으로 쭉 정리했습니다.
1. 어디서 주관하고, 믿을만한 자격증인가?
- 주관하는 곳은 한국디자인진흥원이라는 곳입니다. 디자인을 관리하는 곳인데 홈페이지 UX가 그리 고퀄은 아니네요.정보를 모으려는 데 찾기가 어렵고, 속도가 느린편이예요. 그래도 여기뿐입니다.
https://www.kidp.or.kr/?menuno=1377
사업안내 >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www.kidp.or.kr
- 국가자격이라 안내가 되어 있으나 재확인차 Q-net에서 검색해보니, 맞습니다.
2. 접수기간, 시험구성 등 시험요강은?
- 2022년 기준으로 3회차이고 1년에 필기 한번, 실기를 한번씩 각각 치루는 레어템 시험입니다.
- 2022년 6월까지 유효한 출제기준을 보니 필기시험은 80문제이고, 실기시험의 경우 별도 문항수가 나와있질 않습니다.
3. 가장 중요한 부분이죠. 기출문제나 족보는?
- 아쉽게도 아직은 없네요. 주최측에서 아래와 같이 핸드북을 제공하고는 있습니다.
- 필기문제도 예제로 제공중인데 몇가지 오류가 있어 아래와 같이 정정된 내용이 있습니다. (https://www.kidp.or.kr/index.html?menuno=1378)
■ 오류 수정 등 개선 사항(2020.11.20 기준) '서비스·경험디자인 기획설계' 과목 8번 문항의 질문을 수정합니다. 기존: 다음 사례에서 알 수 있는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변경: 다음 사례에서 알 수 있는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서비스·경험디자인 기획설계' 과목 8번 문항의 보기를 수정합니다. 기존: ④ 로우데이터(Raw Data)는 핵심적 키워드 외에는 배제하여 복잡성을 낮춘다. 변경: ④ 로우데이터(Raw Data)는 핵심키워드가 아닌 경우 가능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오류 수정 등 개선 사항(2020.11.16 기준) '사용자 조사분석' 과목 3번 문항의 질문을 수정합니다. 기존: 거시적 환경 분석(Environment Analysis)을 위해 수행되는 현황조사 방법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변경: 서비스디자인을 위해 수행되는 현황조사 방법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
- 기출이나 족보는 없지만 2번에 링크되어 있는 출제기준을 보면 아래와 같이 커리큘럼은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응시자격은?
- 학생이 아니라면 응시자격을 잘 확인해서 본인에게 맞는 기준을 찾아얄 거 같아요.
5. 도전할만 한 자격일까? 합격율은?
- 슬프게도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네요.
- 1회 시험의 경우 필기 합격율이 90%입니다. 아마 주최측이 깜놀한 것 같습니다.
- 2회 시험을 보니 필기 합격율은 뚝 떨어지고, 실기시험 합격율도 ㅎㄷㄷ --;;
6. 참고할 만한 교재는?
- 위에 링크 걸어둔 핸드북을 보면 용어사전 수준이라 그것만 보고는 힘들 것 같습니다.
- 그래서 조금 더 서칭해보니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관련학과 지정 알림(2021.12.31. 기준)"라는 공고문이 있네요.
- 즉, 지정된 학과에서 공부하는 기본서의 커리큘럼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라고 생각하고 찾아보니.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관련학과 지정 알림(2021.12.31. 기준)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응시자격에 해당하는 관련학과 지정 승인을 알려드립니다. ■ 2021.12. 31. 기준 서울예술대학교 미디어창작학부 성균관대학교 컬처앤테크놀로지융합전공 인제
www.kidp.or.kr
7. 관련학과 중 하나인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기획학과" 홈페이지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 커리를 확인해 보니...과목이 너무 많습니다.
https://www.hycu.ac.kr/user/maSnEx/goMain/30034/subject.do
- 그리고 아무리 찾아도 참고도서나 교재가 구글링이 되질 않습니다. 그러다 찾은 아래와 같은 게시물...
8. 마무리...
- 아직 시간이 좀 남아서(?) 제가 이걸 준비하게 될 진 모르겠지만, 핸드북이나 기출문제를 보니 UX나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책을 두루두루 보는 게 나을 것 같은 느낌입니다.
-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책들로 먼저 시작해 보세요. 특히 "사용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UX디자인"
- 출제기준에 따라 하나씩 정리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네요..음.. 이걸 한번 여기에 시직해볼까란 생각이 불쑥 듭니다.
- 이미 시험을 보신분들 후기도 잘 찾아봐야겠죠?
https://blog.rightbrain.co.kr/?p=12438
RightBrain lab - 라이트브레인 블로그
RightBrain lab은 라이트브레인만의 UX 인사이트와 소중한 현장 경험들을 함께 나눔으로써 서로간의 성장을 돕고 꾸준히 공부해 가는 열린 소통의 장입니다.
blog.rightbrain.co.kr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DT테스트 3과목(디지털금융 기술) 예상문제(3판 기준) (6) | 2022.04.19 |
---|---|
금융DT테스트 2과목(디지털금융 정책 트렌드) 예상문제(3판 기준) (7) | 2022.04.18 |
금융DT테스트 4회차 후기입니다. (21.11.06 응시) (4) | 2021.11.08 |
금융DT테스트(4회) 4과목(디지털금융 마케팅) 예상문제 (4) | 2021.11.01 |
금융DT테스트(4회) 3과목(디지털금융 기술) 예상문제 (6)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