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금융DT테스트(4회) 3과목(디지털금융 기술) 예상문제

2021년 11월 6일 실시하는 3차 시험을 대비하여 자체 제작한 문제입니다.

유튜브 동영상 설명글에서 파일링크로 제공했는데 자꾸 수정이 생기다보니 다시 수정해서 PDF로 변환하는 게 너무 비효율적인거 같아 최신버전 유지 가능한 이 곳으로 옮겼습니다.


 

1.     (     )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일들을 pc에서 처리하지 않고 중앙서버로 올려 보내 필요할때마다 중앙서버에 연결해서 쓴다는 의미로 붙여진 기술용어로 이 사업은 아마존의 전체 영업이익의 67%를 차지한다. 괄호에 알맞은 용어는?

① 전자상거래

② 탈중앙화

③ 쿠버네티스

④ 클라우드컴퓨팅

 

2.     주요 상용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가 아닌 것은?

① 아마존 AWS

② 애플 iCloud

③ 마이크로소프트 Azure

④ 구글 Google Cloud

 

3.     클라우드는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다음 중 운용모델에 따른 분류로 틀린 것은?

Public

Hybrid

SaaS

④ 커뮤니티

 

4.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비스모델에 따른 분류로 바르게 이어진 것은?

IaaS –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에게 CPU나 하드웨어 등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모델

SaaS – Software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PaaS – 업무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만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

BaaS – 은행의 계정계 서버를 이동시켜 지점 업무의 효율성 제고

 

5.     클라우드 서비스의 운영모델에 따른 분류로 틀린 것은?

① 프라이빗 클라우드 특정 회사가 클라우드 관련 기술이 활용된 환경을 직접 구축하여 인프라를 소유

② 커뮤니티 클라우드 공통의 목적을 가진 기업들이 클라우드 시스템을 형성하여 컴퓨팅 자원 수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형태

③ 멀티 클라우드 퍼블릭/하이브리드/프라이빗 클라우드 등 2개 이상의 모델의 결합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구현하는 형태

④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에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묶어 동시에 사용하는 형태

 

6.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 기술 중 하나로 1대의 물리적인 서버 컴퓨터로 여러대의 서버를 이용하는 것처럼 작동시키는 기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분산처리

Server Provisioning

Virtual Machine

④ 가상화 기술

 

7.     다음 중 분산처리기술과 관련된 용어로 짝지어진 것은?

① 서버가상화, VM

② 하둡, MapReduce

Cloud, DID

Distributed Map, Network

 

8.     서버가상화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설명은 무엇인가?

① 서버가상화의 두 축은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가상화와 컨테이너 기반의 가상화이다.

② 하이퍼바이저는 가상화머신모니터 도는 가상화머신매니저라 불린다.

③ 하이퍼바이저는 성능과 클라우딩수준에 따라 Type1 Type2로 나뉜다.

④ 컨테이너 기반의 방식은 마이크로 서비스 구축에 최적이다.

 

9.     서버가상화의 주요 유형 중 컨테이너 방식에 대한 사례와 설명이다. 맞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① 구글은 구글 컨테이너 안에서 문서부터 검색에 이르기까지 모든 구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② 호스트의 갯수만큼 비용이 지불된다.

③ 독립된 운영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④ 실행에 필요한 모든 종속성 및 구성을 조립할 수 있도록 독립성을 유지한다.

 

10.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의 이름으로 사실상 현재 컨테이너 기반 클라우드 컴퓨팅의 표준이라 할 수 있는 것은?

① 도커

② 쿠버네티스

③ 하이퍼바이저

④ 오케스트레이션

 

 

11.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적용한 대표적인 살례가 아닌 것은?

     컨테이너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플랫폼

     하이퍼바이저

     데브옵스

 

12.  빠른 요구사항의 반영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운영을 하나의 프로세스화 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① 애자일

② 린

③ 데브옵스

④ 스크럼

 

13.  데브옵스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중심을 이루는 사상으로 CI CD가 있다, 이는 주어진 제약사항(Control) 하에서 최적의 성과를 내기 위한 방법론이다.

② 조직간에 상호 의존적으로 대응해 소프트웨어 제품과 서비스를 이른 시간안에 개발 및 배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③ 절차적개발 방식의 방법론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방법론이다.

CASE 도구와 협업툴의 도입을 통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14.  넷플릭스와 아마존이 자산의 시스템에 사용하는 아키텍처라고 하여 개념이 널리 알려진 것으로 작은 서비스를 하나씩 개발하고 연결하여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나가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MVP

Agile

MSA

MCA

 

15.  에지컴퓨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클라우드 컴퓨팅의 다른 이름이다.

② 포그 컴퓨팅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③ 중앙컴퓨터의 처리용량 한계에 따른 대안으로 부상하였다.

④ 실시간응답이 필요한 서비스에 유용하다.

 

16.  클라우드 컴퓨팅에 관한 전자금융감독규정의 지난 20191월 개정되었다. 관련된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①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범위를 비중요정보에 한정하였으나 개인신용정보 고유식별정보까지로 확대

② 서비스의 안전성 평가 등을 통한 내부통제 강화

③ 클라우드 이용 확대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이데 대한 규제를 강화하여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서비스 개발/구현/배포를 지원하기 위한 개정

④ 개인신용정보 처리는 국내 소재 클라우드에서만 허용

 

17.  강한 인공지능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기보다는 특정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용도이다.

② 알고리즘을 설계하면서 AI가 스스로 데이터를 찾아 학습한다.

③ 알고리즘으로 학습하고, 규칙을 벗어난 창조를 막아 사고를 알아서 방지한다.

④ 대표적인 사례로 스팸메일 필터링, 이미지 분류, 기계번역 등이 있다.

 

18.  다음 설명에 맞는 용어로 바르게 이어진 것은?

(         ) : 인간의 지적 능력을 컴퓨터를 통해 구현하는 기술

(         ) : 컴퓨터가 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학습하여 예측이나 판단을 제공하는 기술

(         ) : ANN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머신러닝 기술

① 인공지능 딥러닝 머신러닝

② 머신러닝 딥러닝 기계학습

③ 인공지능 신경망학습 딥러닝

④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19.  (      )는 블랙박스와 같은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안에서 어떤 근거로 그러한 결론이 도출되는 지 알아야 시스템을 신뢰할 수 있다는 질문에서 나온 인공지능을 의미한다.

Explainable AI

Deep AI

Easy AI

Convolution AI

 

20.  인공지능 도입영역이 금융권에서 넓어지는 이유는 어떤 형태의 데이터가 많기 때문인가?

① 정형

② 반정형

③ 비정형

④ 디지털

 

21.  인공지능을 활용한 모바일 기반 주택담보대출 사전진단 서비스를 출시한 은행으로 심사를 1분만에 계산하여 업무효율을 높인 사례로 유명한 은행은?

BBVA

DBS

③ 미즈호

④ 캐피탈원

 

22.  챗봇의 진화단계가 1단계부터 3단계까지 바르게 이어진 것은?

① 챗봇 지능형 종합형

② 지능형 감성비서 챗봇

③ 챗봇 감성 - XAI

④ 종합형 지능형 챗봇

 

23.  머신러닝과 딥러닝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설명은 무엇인가?

① 약한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데 쓰이는 것이 머신러닝이다.

② 원숭이 사진을 수천장 학습시키고 사진 수만 장을 제시해 원숭이 사진을 분류하게 하는 것은 지도학습이다.

③ 딥러닝은 많은 양의 데이터에 대한 계산 처리를 위해 CPU를 사용한다.

④ 딥러닝은 비지도학습 방식이다.

 

24.  인공지능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된 내용이 아닌것은?

① 애플이 골드만삭스와 협력하여 내놓은 신용카드인 애플카드는 남녀차별 문제를 발생시켰다.

② 알고리즘의 결과에 대한 설명이 없는 부분에 대하여 신뢰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③ 과도하게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자원을 낭비하기도 한다.

④ 알고리즘의 조작가능성과 의사결정의 편향성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해 연구가 진행중이다.

 

25.  다음은 음성봇에서 사용하는 기술이다. 설명이 옳지 않는 것은?

STT :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TTS : 텍스트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NLP : 자연어를 분석하는 프로세스이다.

④ 소프트웨어공학 : 음성봇 설계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론이다.

 

26.  국내 금융분야 AI 사례 중 프론트 오피스 영역에 적용된 업무로 짝지어 진 것은?

AI은행원 서비스, 로보어드바이저 플랫폼

② 챗봇 고객상담, 보험사기 방지

③ 보이스피싱 차단, 기업신용평가

④ 안면인식결제, 보험사기 방지

 

27.  OECD에서 정의한 빅데이터의 공통속성 3V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크기, 속도, 관점

Velocity, Volume, Variety

③ 속도, 관점, 다양성

Value, Volume, Velocity

 

28.  전통적인 빅데이터의 3대 속성은 크기, 속도, 다양성이다. 최근 추가되어지고 있는 새로운 V속성이 아닌 것은?

① 정확성(Veracity)

② 가치(Value)

③ 관점(View)

④ 시각화(Visualization)

 

29.  HTML이나 XML 등과 같은 인터넷 문서에 포함되 데이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빅데이터

② 반정형데이터

③ 비정형데이터

④ 정형데이터

 

30.  빅데이터의 3대 기술이 아닌 것은?

① 저장 기술

② 분석 기술

③ 표현 기술

④ 통합 기술

 

31.   (     )는 빅데이터의 저장기술 중 하나로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처리할 수 있는 자바기반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이다.

① 오라클

② 하둡

NoSQL

④ 오픈DB

 

32.  빅데이터의 저장 기술 중 하나인 NoSQL은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델과 SQL을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다음 중 틀린 설명은?

기존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보다 가용성과 확장성에 초점을 맞춘다.

② 기존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대체하여 빅데이터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다.

③ 정형 데이터 외에 비정형, 반정형 데이터도 처리 가능하다.

④ 고가의 라이선스 비용 없이 오픈소스로 제공이 된다.

 

33.  다음은 빅데이터의 분석기술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① 텍스트 마이닝 : 자연어 처리기술을 기반으로 반정형 또는 비정형 텍스트에서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가공한다.

② 오피니언 마이닝 : SNS, 블로그 등에 기술된 사용자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③ 소셜 네트워크 분석 : 소셜네트워크에 나타난 정형화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④ 군집 분석 : 데이터 간 유사도를 측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특성이 비슷한 데이터를 합쳐가면서 최종적으로 유사특성의 데이터 집합을 추출한다.

 

34.  빅데이터의 처리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데이터의 생성 -> (    ) -> (    ) -> (    ) -> (    ) -> 표현(시각화)

① 저장, 처리, 분석, 수집

② 수집, 분석, 처리, 저장

③ 수집, 저장, 처리, 분석

④ 처리, 분석, 수집, 저장

 

35.  다음은 데이터 처리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각각 어떤 과정에 대한 설명인가?

(     )는 데이터셋에서 원하는 부분 혹은 전체를 추출하고, 분석을 위해 데이터셋을 재배치하는 등 데이터셋의 폼을 바꾸는 과정이다.

(     )는 전처리한 후 수학적인 기법을 적용하여 통계분석, 머신러닝 기법들을 통해 예측, 분류 등의 분석 결과를 만들어 낸다.

① 수집, 표현

② 처리, 시각화

③ 생성, 분석

④ 처리, 분석

 

36.  빅데이터 처리과정별 기술이 바르지 않게 연결된 것은?

① 수집 크롤링, ETL

② 저장 – NoSQL, 스토리지

③ 처리 직렬화, 프로세싱

④ 분석 – NLP, 기계학습

 

37.  싱가포르 소재의 은행들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 중 ATM을 채우는 순서를 파악하고, 현금이 부족한 시기를 예측하여 고객편의성을 높인 은행은?

HSBC

DBS

Citi

OCBC

 

38.  국내 B은행은 2200만 개인과 소호기업 고객의 대출 및 소비성향 등 고객 통합분석체계를 마련하였다. 다음 중 B은행이 수행할 수 있는 업무가 아닌 것은?

① 고객의 개인신용정보를 익명정보로 변환한 후 상권분석을 한다.

② 고객의 개인신용정보를 통계정보로 변환한 후 마케팅전략을 수립한다.

③ 고객의 정보를 가공하여 데이터셋을 판매한다.

④ 고객의 개인정보를 빅데이터분석을 통해 맞춤형 상품을 추천한다.

 

39.  금융위원회가 추진하는 금융분야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에 관련된 내용이 아닌 것은?

① 금융 데이터 거래소

② 금융 공공데이터 개방시스템

③ 금융 오픈뱅킹 플랫폼

④ 데이터 결합 전문기관

 

40.  다음 중 블록체인과 분산원장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블록체인은 분산원장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유일한 데이터 구조이다.

② 모든 블록체인은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한다.

③ 분산원장 기술은 원장을 분산하여 저장하는 기술이다.

④ 블록체인은 속도저하라는 고유의 취약성이 있다.

 

41.  블록체인은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이 중 하이퍼레저나 R3CEV와 같은 형태로, 느린 거래속도와 네트워크 확장성의 문제를 해결한 방식은 무엇인가?

①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② 프라이빗 블록체인

③ 컨소시엄 블록체인

④ 스마트 블록체인

 

42.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기반기술로 묶인 것은?

P2P 네트워크, 스마트계약, 합의알고리즘, 클라우드

② 스마트계약, 합의알고리즘, 해시함수, P2P 네트워크

RSA암호, 스마트계약, 스마트계약, 이더리움

④ 비트토렌토, 하이퍼레저, 암호화, 거래증명

 

43.  합의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작업증명은 가장 기본적인 합의 알고리즘으로 참여당사자 간에 검증한다.

② 작업증명 방식 대비 지분증명은 확장성과 민주성 측면에서 개선되었다.

③ 작업증명외에도 지분증명, 위임지분증명, Pol, PBFT 등의 합의 알고리즘이 있다.

④ 작업증명에서는 컴퓨팅 파워가 핵심이고, 지분증명에서는 지분이 핵심이다.

 

44.  블록체인의 난제 중 하나인 트릴레마(3중 딜레마)의 세가지 속성이 아닌 것은?

① 확장성

② 분산화

③ 보안성

④ 무결성

 

45.  블록체인의 난제 중 하나인 오라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블록체인 외부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블록체인 내부에 기록해야 하는 문제이다.

② 블록체인 내부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블록체인 노드에 기록시 발생하는 속도 문제이다.

③ 오프라인에서 일어나는 일을 온라인에 동일하게 기록한다.

④ 오라클로 인해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부정거래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46.  디파이(De-Fi)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Decentralized Finance의 약자로 탈중앙화 금융서비스를 의미한다.

② 디파이로 송금/결제/대출 서비스를 할 수 있다.

③ 제도권 화폐 대비 낮은 변동성은 많은 참여자를 모으는 요인이 된다.

④ 서비스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47.  암호화폐의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고안된 암호화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스테이블 코인이라고 불린다.

② 페이스북 주도의 디엠도 스테이블 코인이다.

③ 안정성을 위해 중개은행을 거치는 방식을 선택한다.

④ 법정화폐 담보형의 경우 중앙집권화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48.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CBDC와는 낮은 상관관계로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다.

② 스테이블 코인이 법정화폐가 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는 편이 맞다.

③ 한국에는 IMFSDR과 연동하는 테라라는 스테이블 코인이 있다.

④ 스테이블 코인은 모두 독자시장을 형성하여 경쟁관계는 거의 없는 편이다.

 

49.  국내 암호화폐산업을 양지화 하기 위한 법령은 무엇인가?

① 자본시장통합법

②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③ 온라인투자연계법

④ 가상화폐 및 암호화폐 이용 등에 관한 법률

 

50.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VASP(가상자산사업자,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가 가상자산 송금인과 수취인의 정보 등 가상자산의 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다가 금융당국이 요청하면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규정)

AML

Travel Rule

Volker Rule

CFT

 

51.  특금법의 내용 및 관련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VASP는 시중은행에서 실명확인 입출금계정을 발급받아야 한다.

② 금융위원회에 영업신고를 해야 한다.

③ 금융사는 고객인 VASP의 대표자 거래목적 등 기본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④ 기준에 맞지 않는 가상화폐 거래소는 퇴출된다.

 

52.  금융위가 지정한 주요 가상자산사업자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가산자산 거래업자(거래소)

② 가상자산 보관관리업자(커스터디)

③ 가상자산 지갑서비스업자

④ 가상자산 계좌관리업자

 

53.  국내외 은행의 가상자산 산업의 동향에 대한 내용이다. 잘못된 것은?

DBS는 세계적인 규모의 은행 최초로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오픈하였다.

② 미국 재무부 산하의 통화감독청은 가상자산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라이선스 은행 중 일부에 대하여 영업을 허가하였다.

③ 피델리티는 비트코인의 프라이빗 키를 오프라인 형태로 저장하는 콜드스토리지 기능을 제공중이다.

④ 국내은행도 안정적인 인프라를 강점으로 가상자산 거래소 시장을 공략 중이다.

 

54.  각국의 CBDC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① 중국의 CBDCDCEP는 시범운영을 이미 진행하였다.

CBDC는 소액결제에 특화되어 그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

CBDC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던 한국도 파일럿 테스트를 시작하였다.

④ 모든 거래내용이 전산기록으로 남는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우려도 있다.

 

55.  다양한 디지털서비스에 가입하고 로그인하면서 디지털ID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유엔본부 ‘UN 2030 지속 가능한 개발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아이디/패스워드를 발급하여 지구상 모든 이에게 디지털 신원을 제공하고자 한다.

② 개인정보나 이력을 타인이 관리하기 때문에 국가전산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본인 증명이 어려워질 수 있다.

ID3요소는 식별자, 속성, 공인기관이다.

④ 한국은 이미 90% 이상의 국민에게 디지털ID를 부여하여 사회보장혜택을 관리한다.

 

56.  디지털ID와 고객확인제도를 동전의 앞뒷면과 같은 관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

KYC에는 CDD EDD가 있다.

EUSCA(강력한 고객인증)PSD2의 주요 내용 중 하나로 두가지 이상의 인증수단을 사용해야 한다.

③ 디지털ID는 사용자 입장에서 내가 나임을 따로 검증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신원을 제시하는 행위가 단독으로 완료되어야 진정한 구현이라 할 수 있다.

CDD의 상세한 내용은 고객을 식별하고 신원을 신뢰할 수 있으면 독립된 본래의 자료/데이터/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57.  CDDEDD의 비교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EDD가 보다 강화된 제도이다.

EDD에서는 CDD에서 취급하지 않는 주소와 연락처뿐만 아니라 실제 당사자 여부, 거래목적까지 확인한다.

CDD2채널 인증이 필요하다.

EDD는 특금법 적용으로 가상자산사업자로 신고할 경우 금융기관에 준하는 KYC기준 충족이 필요하다.

 

58.  국내에서 모바일 공무원증, 운전면허증, 장애인등록증에 적용중인 블록체인 기반 분산신원확인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는 기관과 일대일로 스마트계약을 체결하여 관리를 위임한다.

② 인증된 개인정보를 이용자의 휴대전화에 저장했다가 인증이 필요할 때 필요한 정보만 골라 간편히 제출하게 한다.

③ 세계적인 디지털ID 국가인 에스토니아는 도입 후 무사고 무장애 관리로 모범사례로 꼽힌다.

④ 개인의 민감한 정보 유출은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59.  인증수단은 인증 특성에 따라 세가지로 분류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식기반은 사용자만 알고 있는 것으로 인증하는 방식이다.

② 휴대폰 SMS 인증, 보안카드 등은 소유기반 인증이라 불린다.

③ 키보드 타이핑 하는 버릇이나 손동작 인증은 생체기반 인증의 하나이다.

④ 패스워드, 핀번호는 지식기반 인증이다.

 

60.  (    )() 개인정보를 사이트 중앙서버가 아닌 탈중앙화된 신원확인 시스템에 올려놓고 필요에 따라 본인을 확인하는 자기주권신원을 가능하게 한다.

① 블록체인

② 연합인증

DID

FIDO

 

61.  페이스북으로 인증하기’ , ‘네이버로 인증하기등과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제공자가 신원관리 주체가 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개별신원확인

② 연합인증모델

③ 자기주권신원모델

④ 포털인증모델

 

62.  자기주권신원 모델의 삼각관계를 이루는 세 주체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보유자, 발급자, 수행자

② 분석자, 보유자, 검증자

③ 보유자, 발급자, 검증자

④ 확인자, 제출자, 처리자

 

63.  DI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검증 가능한 인증정보 중에서 증명하고 싶은 정보만 모아서 제출하는 증명정보를 검증 가능한 프레젠테이션이라 한다.

② 개인정보의 보유자가 발급기관에 자신의 정보를 제출하면 검증가능한 인증정보를 발급받게 된다.

③ 자기주권신원은 최대한의 정보공개를 원칙으로 하는 만큼 보유자의 의사가 중요하다.

④ 위변조방지에는 강점이 있으나 신분증상에 기록된 개인정보의 노출에는 취약할 수 있다.

 

64.  다음은 무엇에 대한 기술용어인가?

(웹으로 공개된 수많은 외부 데이터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 CSV, 엑셀파일 등으로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① 스크레이핑

② 웹크롤링

③ 데이터마이닝

XML

 

65.  통계 및 그래프 작업을 위해 개발된 언어는?

R

Python

GO

C

 

66.  (     )는 문제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하고 패턴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이다.

① 코딩

② 프로그래밍

③ 알고리즘

④ 애자일

 


 

1. 4
2.  2
3. 3
4. 1
5. 3
6.  4
7. 2
8. 3
9. 1
10.  1
11.  3
12.  3
13.  2
14.  3
15.  1.
16.  3
17.  2
18.  4.
19.  1
20.  2
21.  3
22.  1
23.  3
24.  3
25.  4
26.  1
27.  2
28.  3
29.  2
30.  4
31.  2
32.  2
33.  3
34.  3
35.  4
36.  3
37.  2
38.  4
39.  3
40.  1
41.  3
42.  2
43.  2
44.  4
45.  1.
46.  3
47.  3
48.  3
49.  2
50.  2
51.  2
52.  4
53.  2
54.  2
55.  2
56.  3
57.  2
58.  2
59.  3
60.  3
61.  2
62.  3
63.  3
64.  2
65.  1
66.  3

 

1.     4

2.     2

3.     3. 운용모델에 따른 분류는 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커뮤니티, 멀티.

4.     1, 2번과 3번의 설명이 바뀜.

5.     3. 멀티클라우드는 2개 이상의 클라우드 공급자가 제공하는 퍼블릭 클라우드

6.     4. 가상머신은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복제된 컴퓨터 환경의 이름이다. 프로비저닝은 사용자 요청에 맞게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

7.     2번 맵리듀스는 구글이 개발한 분산처리기술이고, 이를 오픈소스로 구현한 것이 하둡이다.

8.     3. 위치와 역할에 따른 구분이다.

9.     1. 컨테이너 방식은 호스트 1대 안에 여러가지 서비스가 들어있어 의존성이 발생한다.

기존 가상머신 방식(하이퍼바이저) 컨테이너 방식
- VM당 Monolitchc한 서비스 가능
- VM단위의 이동, 복제와 생성 가능
- 1 VM 당 1개의 서비스
- 성능 오버헤드 존재
- GB 단위로 추가 VM 생성
- VM 수만큼 비용 지불
- 각각 독립된 VM들로 안정적인 운영 가능 (완전분리)
- 실행에 필요한 모든 종속성 및 구성을 함께 배포(실행환경 일관성)
- 마이크로 서비스 구축에 최적
- 호스트 OS 커널 공유이므로 필요한 만큼만 자원 사용
- 게스트 OS가 없어 MB 단위로 컨테이너 생성
- Host 1대의 비용만 지불
- 통제된 영역이긴 하지만 OS커널을 공유하므로 장애발생시 같이 영향 받음

10.  1. 쿠버네티스는 다중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툴의 이름이다.

11.  3, (213)

12.  3

13.  2. CONTINUOUS INTEGRATION, CONTINUOUS DELIVERY(OR DEPLOYMENT)

14.  3, Minimum Viable Product, Microservice Architecture, Muti Channel Architecture

15.  1.

16.  3. 추가규제 완화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된 것이 개정의 하나의 배경

17.  2. 강한 인공지능은 보편/다양/스스로학습/능동적창조/규칙이탈 등이 키워드

18.  4.

19.  1

20.  2

21.  3

22.  1

23.  3. GPU를 사용한다.

24.  3

25.  4

26.  1. AI은행원, 로보어드바이저, 안면인식결제서비스, 챗봇고객상담

27.  2, 속도, 크기, 다양성

28.  3

29.  2, SNS, 말은 비정형

30.  4

31.  2, NoSQL은 기존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보다 가용성과 확장성에 초점을 맞춘다.

32.  2

33.  3, 소셜네트워킹 로그는 비정형 데이터이다.

34.  3

35.  4, 33번에 나오지만, 데이터의 생성 -> (수집) -> (저장) -> (처리) -> (분석) -> 표현(시각화)

36.  3, 직렬화는 분석이다. 처리는 맵리듀스와 프로세싱 기술을 사용한다.

37.  2

38.  4. 20202월부터 은행은 빅데이터 부수업무 수행이 가능해졌다. 이때 고객의 개인신용정보를 빅데이터(가명/익명/통계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39.  3. 이외에도 신용정보원 빅데이터 개방시스템과 금융결제원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이 있다.

40.  1. 유일한 기술이 아니다. 하나의 데이터 구조에 불과하다.

41.  3

42.  2

43.  2

44.  4

45.  1.

46.  3.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암호화폐는 제도권 화폐보다 변동성이 매우 크다.

47.  3

48.  3CBDC와 경쟁하게 될 전망이다. 또한 이로 인해 법정화폐가 될 가능성도 높은 편이다. 이러한 스테이블 코인끼리의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49.  2

50.  2. 자금세탁방지, 볼커룰, 테러자금조달방지

51.  2. 금융정보분석원에 신고한다.

52.  4

53.  2. 라이선스 은행이라면 누구나 가상자산의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발표.

54.  2. 소액결제와 거액결제가 모두 가능하다.

55.  2. 생체인식정보를 활용한다. 식별자/크레덴셜/속성이다. 인도에 대한 설명이다.

56.  3. 내가 나임을 디지털로 검증하는 확인 주체가 있어야 한다. 사회적으로 통용이 되어야 한다.

57.  2. CDD에서 성명, 주민번호+주소, 연락처를 확인한다.

58.  2.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관리. 2017년 보안취약성 발견

59.  3. 지문, 홍채, 정맥 등이 생체인증이다.

60.  3

61.  2, 소셜로그인이라고도 불리지만 연합인증이 정식표현

62.  3

63.  3번 최소한의 필요한 정보만 제공한다. 내가 성인인것만 입증하면 되는데 주소정보 등을 같이 노출할 필요가 없음

64.  2

65.  1 , GO는 구글에서 만든 언어

66.  3


위 문제풀이용으로 제작한 영상이고 짝수문제만 있습니다.

https://youtu.be/tf_injbXXrw